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표고재배

톱밥재배

표고톱밥재배는 표고원목재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재배방법으로써 주목되고 있다. 세계적으로 표고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 대만, 일본 등도 톱밥재배방법으로 많은 양의 표고를 생산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톱밥재배의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톱밥재배의 장점

자원절약
원목재배는 참나무 원목만을 사용할 수 있으나 톱밥재배는 참나무 가지 및 다른 활엽수, 폐골목도 사용이 가능하다.
노동력절약
배지무게가 가벼워 고령자 및 부녀자도 취급이 가능하다.
원목은 10~15㎏/본, 톱밥배지는 1.5~3㎏/봉
원목재배는 원목이동 등에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나 톱밥재배는 인력이 적게 소요된다.
공간절약
원목재배는 평면재배 방식이므로 넓은 면적이 필요하나, 톱밥재배는 다단식 재배방식이어서 재배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단기재배
원목재배는 자본회수에 장기간(3년)이 소요되나, 톱밥재배는 단기간(6개월)에 자본회수가 가능하다.
계획출하
원목재배는 기후에 따라 작황의 차이가 많으므로 계획적인 출하조절이 어려우나, 톱밥재배는 가온 가습이 가능한 생산시설을 이용하므로 연중 계획적인 생산이 가능하다.

톱밥재배의 단점

시설투자비 높음
배지의 제조 및 배양과정에서 필요한 시설 및 기계를 구비하기 위해 초기 투자비가 많이 소요된다.
기존 표고원목재배 하우스에서도 톱밥재배가 가능하지만 연중 생산을 위해서는 공조설비가 필요하므로 투자비가 많이 소요된다.
재배 관리 어려움
원목재배는 표고균이 두꺼운 원목수피에 의해 보호되지만, 톱밥재배는 표고균이 스스로 만든 피막만으로 보호되므로 해균에 오염되기 쉬워 청결한 시설과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재배 및 관리가 어렵다.
버섯 생산 및 품질은 재배자의 기술에 좌우되므로 자신의 재배환경에 맞는 재배기술 습득이 중요하다.
배지분양센터 부족
일반농가에서 배지제조부터 배양까지 전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매우 곤란하다.
배양이 완료된 배지를 구입하여 발생시키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이나 국내 배지분양 센터 부족 등으로 중국에서 수입하여 재배하는 농가가 늘어나고 있다.
배지의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배지분양센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중재배의 곤란
톱밥재배는 공조시설을 하지 않는 한 연중재배가 곤란하다.
겨울재배의 경우 난방과 하우스피복 등으로 가능하나 여름재배는 냉방기를 가동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