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고재배
톱밥재배
국가별 톱밥재배 방식
- 중국
- 70년대 중반부터 대만에서 기술과 시설을 도입하여 지금은 90% 이상을 톱밥재배로 생산하고 있으며 재배의 전 공정이 기계화 되어 있지 못하나 풍부한 노동력을 이용하여 수작업 위주로 재배하고 있다.
- 중국의 참나무는 심재비율이 높아 원목재배에 부적합하나, 과수목 등 이용 가능한 부산물이 풍부하여 톱밥재배에 유리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
- 대만
- 70년대 초부터 참나무 부족,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톱밥재배를 시작, 현재는 표고 생산량의 90% 이상이 톱밥재배로 생산된 것이다.
- 70년대 초부터 농업시험장과 대학이 중심이 되어 배지제조 및 생산기술을 개발·보급하고 많은 시행 착오를 거쳐 현재는 톱밥재배기술이 안정화 되어 있다.
- 일본
- 80년대 초, 대만의 톱밥재배에 자극을 받아 시작하여 현재 전체 표고생산량의 60% 이상을 톱밥재배로 생산하고 있다.
- 가온·가습의 자동화 시설을 한 기업형태의 전업재배로 계획적인 생산과 출하로 연중 안정된 생산과 소득이 가능하다.
국가별 톱밥재배 방식의 장/단점
구분 | 장점 | 단점 |
---|---|---|
중국 |
|
|
대만 |
|
|
일본 |
|
|
국가별 톱밥재배 과정
- 배
지
제
조 - 배
지
입
봉 - 살
균
냉
각 - 종
균
접
종 - 배
지
배
양 - 침
봉
살
수
침
수 - 발
생
수
확
중국식

- 재료 :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 위주
- 혼합 : 인력의존 혼합

- 수동스크류식 배지충진기(수동식)

- 상압살균(98°C/6시간)

- 손접종

- 하우스 배양대에 올려 자연배양 90일

- 침봉

대만식

- 재료 : 야외 야적
- 혼합 : 교반기

- 로타리식 배지충진기(반자동식)

- 상압살균(98°C/6시간)

- 손접종

- 시설하우스 바닥에 전개 자연배양 60일

- 살수(뒤집기)

일본식

- 재료 : 참나무톱밥80%, 영양원20%(수분65%)
- 혼합 : 교반기

- 에어식 배지 충진기(반자동식)

- 고압살균(121°C/90분)

- 반자동접종기

- 항온공조배양실 120일(암40일/명80일)

- 침수

경영형태별 톱밥재배 방식
- 배지 자가생산형
- 개인재배자가 배지제조부터 발생까지의 전 과정의 생산시설을 구비해야 한다.
- 생산시설 구비를 위한 초기비용이 많으나 재배 전 과정을 재배자가 관리하고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 연간 배지생산 규모를 조절하여 전업형 또는 부업형으로 경영한다.
- 배지 공동생산형
- 지역단위의 공동체 또는 배지센터에서 배지를 공동생산하고 각 농가에서 생산된 버섯을 공동출하하는 방식이다.
- 주로 일본 현(県)내의 시·군(市町村), JA(農協)를 중심으로 산지를 조성하거나 특산품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 같은 지역내에서 배양, 생산되므로 기상조건 등 환경이 적합한 상태에서 생산이 가능하다.
- 배지 구입생산형
- 배지제조업자로부터 톱밥배지를 구입하여 버섯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 초기에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발생시설만 구비하면 단기간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배지구입비에 배지업자의 수익 등이 포함되어 있어 배지생산형보다 이익폭이 적을 수 있고, 배지 배양과정등의 충분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 배지의 관리는 구입업자로부터의 정보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