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표고재배

톱밥재배

국가별 톱밥재배 방식

중국
70년대 중반부터 대만에서 기술과 시설을 도입하여 지금은 90% 이상을 톱밥재배로 생산하고 있으며 재배의 전 공정이 기계화 되어 있지 못하나 풍부한 노동력을 이용하여 수작업 위주로 재배하고 있다.
중국의 참나무는 심재비율이 높아 원목재배에 부적합하나, 과수목 등 이용 가능한 부산물이 풍부하여 톱밥재배에 유리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다.
대만
70년대 초부터 참나무 부족,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톱밥재배를 시작, 현재는 표고 생산량의 90% 이상이 톱밥재배로 생산된 것이다.
70년대 초부터 농업시험장과 대학이 중심이 되어 배지제조 및 생산기술을 개발·보급하고 많은 시행 착오를 거쳐 현재는 톱밥재배기술이 안정화 되어 있다.
일본
80년대 초, 대만의 톱밥재배에 자극을 받아 시작하여 현재 전체 표고생산량의 60% 이상을 톱밥재배로 생산하고 있다.
가온·가습의 자동화 시설을 한 기업형태의 전업재배로 계획적인 생산과 출하로 연중 안정된 생산과 소득이 가능하다.

국가별 톱밥재배 방식의 장/단점

구분 장점 단점
중국
  • 일반 농가에서도 특별한 기술없이도 재배 가능
  • 농한기를 이용한 재배(부업형)
  • 기존 채소하우스 등을 재배시설로 이용가능
  • 배지생산공정 및 버섯발생작업에 인력 의존도 높음
  • 종균 접종방법이 무균화되지 못하여 잡균오염율이 높음
  • 자연 기상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므로 연중 재배가 어려움(봄,겨울)
대만
  • 배지 생산의 기계화로 대량 생산가능(공장형)
  • 배지배양을 일반 하우스를 사용해 실시함으로써 배양비용절감
  • 60일 배양 후 상면만 제거 갈변시키는 상면 발생재배로 배양기간단축
  • 초기 배지생산 투자비 과다
  • 접종과정이 자동화 되어 있지 못하여 어려움 (인력위주)
  • 여름 고온기에 배양의 어려움
  • 전업재배를 하려면 많은 공간을 필요로함
일본
  • 기업형 주년재배
  • 배지재료 및 배지생산공정 등의 균일화로 배지상태의 일정한 유지
  • 배지생산공정의 무균화로 배지의 잡균 오염 적음
  • 완전공조시설에서의 배지제조 및 배양에 의한 비용의 과다
  • 배지배양기간이 장기간소요
  • 버섯발생을 공조시설에 의존하므로 초기투자비가 높음

국가별 톱밥재배 과정
























중국식
  • 재료 : 주변에서 구하기 쉬운 재료 위주
  • 혼합 : 인력의존 혼합
  • 수동스크류식 배지충진기(수동식)
  • 상압살균(98°C/6시간)
  • 손접종
  • 하우스 배양대에 올려 자연배양 90일
  • 침봉
대만식
  • 재료 : 야외 야적
  • 혼합 : 교반기
  • 로타리식 배지충진기(반자동식)
  • 상압살균(98°C/6시간)
  • 손접종
  • 시설하우스 바닥에 전개 자연배양 60일
  • 살수(뒤집기)
일본식
  • 재료 : 참나무톱밥80%, 영양원20%(수분65%)
  • 혼합 : 교반기
  • 에어식 배지 충진기(반자동식)
  • 고압살균(121°C/90분)
  • 반자동접종기
  • 항온공조배양실 120일(암40일/명80일)
  • 침수

경영형태별 톱밥재배 방식

배지 자가생산형
개인재배자가 배지제조부터 발생까지의 전 과정의 생산시설을 구비해야 한다.
생산시설 구비를 위한 초기비용이 많으나 재배 전 과정을 재배자가 관리하고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다.
연간 배지생산 규모를 조절하여 전업형 또는 부업형으로 경영한다.

배지 공동생산형
지역단위의 공동체 또는 배지센터에서 배지를 공동생산하고 각 농가에서 생산된 버섯을 공동출하하는 방식이다.
주로 일본 현(県)내의 시·군(市町村), JA(農協)를 중심으로 산지를 조성하거나 특산품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같은 지역내에서 배양, 생산되므로 기상조건 등 환경이 적합한 상태에서 생산이 가능하다.

배지 구입생산형
배지제조업자로부터 톱밥배지를 구입하여 버섯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초기에 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발생시설만 구비하면 단기간에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배지구입비에 배지업자의 수익 등이 포함되어 있어 배지생산형보다 이익폭이 적을 수 있고, 배지 배양과정등의 충분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 배지의 관리는 구입업자로부터의 정보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다.